포스트

[구결] 석독구결 기본 정리

석독구결 표기법/구결자/조사/어미/통사현상

[구결] 석독구결 기본 정리

석독구결(문현수, 2023)

초/중종 ᅟᅵᆨ ᅟᅵᆯ ᅟᅳᆫ ᅟᅳᆯ ᅟᆞᆫ ᅟᆞᆯ ᅟᅡᆷ ᅟᅩᆷ ᅟᆞᆸ ᅟᆞᆺ 종성
               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ᄀᆞᆫ       ᄀᆞᆺ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ᄂᆞ         ᄂᆞᆫ            
     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ᄃᆞ ᄃᆡ           ᄃᆞᆯ          
         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 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ᄋᆞᆯ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ᄇᆞᆺ  
         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ᄉᆞᆸ    
                        
        ᄋᆞᆫ ᄋᆞᆯ     ᄋᆞᆸ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 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            ᄒᆞ ᄒᆡ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

1. 표기법

1.1. 말음 첨기 표기와 생략 표기

  • 말음 첨기 표기: 해당 형태의 말음만을 구결자로 제시 ⇒ 해당 한자를 훈독할 수 있도록 함
    • 훈독을 하는 방법은 15세기 그러한 고유어가 있는지 판단하는 것 ⇒ 한글 자료와 대응하여 판단 결과 추정 독법이 확실한 애들도 있고, 불확실한 애들도 있음

    • 말음 첨기 표기로 생각했을 때 형태론적이나 통사론적 문제가 있어 해석의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함 ⇒ 단순한 오기인지 생략 표기(의도가 있는 것)인지 파악해야 함

  • 두음 첨기 표기: 해당 형태의 어간의 첫 글자를 구결자로 표현해주는 것
  • 說ㄱ ⇒ 말하자면의 의미로 쓰일 때 해당 방식으로 많이 쓰이는데, 이렇게만 생각해보면 ㅗ가 생략된 것을 볼 수 있음
    • 반면, 說⼃ㄱ 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체언을 수식할 때나 명사적인 기능으로 해석될 때 이런 모습
    • 결국 說ㄱ은 ‘닐온’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는 것이 나을지도.
  • 서수사가 반복해서 등장하는 구문에서도 구결자가 뒤에서는 생략된 경우가 있음

1.2. 전훈독 표기와 부독자

  • 전훈독 표기: 훈 전체를 구결자로 드러낸 표기
  • 구결자가 해당 한자를 전적으로 대신할 때에는 한자는 읽지 않게 됨 ⇒ 부독자

1.3. 구결자 융합표기와 복합표기

  • 융합표기: 하나의 구결자가 둘 이상의 형태로 분석
  • 복합표기: 하나의 형태가 둘 이상의 구결자로 이루어진 경우

1.4. 한자의 이자동음 표기와 동자이음 표기

  • 이자동음: 한자가 다르더라도 뜻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면 동일한 구결자가 현토되어 같은 독법으로 읽음
  • 동자이음: 같은 한자에 동일한 구결자가 있어도 형태, 통사론적 환경에 따라 다르게 읽음

1.5. 음독유도 표기와 훈독유도 표기

  • 음독유도: 하-로 된 구결자. 하를 포함하고 있는 애들
  • 훈독유도: 연결어미 - 며, 아, 져, 곤, 전성어미 - ㄹ,ㄴ, 선어말어미- 긔, 삽, 과 ⇒ 훈독

2. 구결자의 특징

2.1. 독음이 겹치는 구결자 - 분포가 다른 경우

    •  조사-을
    •  어미-을
    • 동명사어미+계사 or 주격조사
    • 동명사 어미+의존명사
    • 직접 별화 도입 연결어미 
    • 의도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(ㅅ뎌)

[계통별로 다른 구결자 사용]

  • 화엄경
    • , , 
  • 유가
    • , , 
  • 구역인왕경
    • [오] - cf. [오]
  • 자비도량참법
    • [며]와 [져] - cf. [며] [져]

2.2. 독음이 겹칠 가능성이 높은 구결자

2.2.1. 분포가 다른 구결자

  • [근] []
    • 핵모음이 모음조화를 이룸
    • [근]: 연결어미+첨사(ㄱ)+보조사 ᄋᆞᆫ/은 구성을 나타낼 때 사용
    • []: 말음첨기 ㄱ/ 보조사, 동명사형 어미 ᄋᆞᆫ/은 의 결합형을 나타낼 때 사용
  • [ㄹ] [ᇙ]
    • 동일하다고 추정
    • : 목적격 조사
    • : 동명사형 어미 or 속격조사

2.2.2. 분포가 겹치는 구결자

  • [] []
    • 如에 현토되어 ‘ᄀᆞᆮᄒᆞ-’의 어간을 표기
  • [모] 와 <>[모?]
    • 不에 쓰여 능력부정 ‘몯’ 표기
  • [일]과 [일?]
    • 자동사 ‘일-’의 어간 표기

=> 해당 구결자 중 특정 형태소만 표기하는 경우 존재

  • : ᄀᆞᆮᄒᆞ-, : ‘몯’, : 일- 의 일부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
  • 특정 어휘 형태소에 연결 – 강한 표어성
  • 특정 계통의 문헌에서만 사용 -> 표음성<표어성 이기 때문에 발생한 결과
    • 如, 如 - 화엄경 /如 - 유가
    • 不, 不 -화엄경 / 不 - 유가
    • [일]과 [일?] - 유가

2.3. 독음이 여러 가지인 구결자

  • 소리의 차이가 기능상의 차이를 동반하지 않는 부류 - 모음조화
    • [아/어], [오/우], [/의], [(/으)ᄂ], [(/으)ᄅ], [(/으)ᇙ], [(/으)ᄆ], [(/으)ᄇ?]
  • 소리의 차이가 기능상의 차이를 동반하는 부류
      • 용언: 기
      • 강세첨사: ㄱ
      • 선어말어미: 거
      • 의문첨사: 가
      • 종결어미: 다
      • 선어말어미: 더
      • 유가 ᄒᆞ+오 -> 호 / 선어말어미: 오, 우 => : -가, : -더-를 표기하는 경우는 매우 적음

2.4 표어성을 띠는 구결자

2.4.1. 훈독자와 유사한 구결자

  • 고유어 어근, 선어말어미 표기
  • 기원이 되는 한자와 밀접한 관련
    • 독음 [ᄒᆡ]로 추정
    • 없이도 ᄒᆞ+이를 표현
    • 대부분의 경우 로 등장
    • 令이 원자에 해당함
    • 을 훈독자라고 이해하면, 令이 늘 와 쓰이는 것과 유사하게, 도 해석 가능.

  • 捨(버릴 사)
    • 輟에 대한 전훈독 표기 - [ᄇᆞ리]로 추정
    • 전훈독 표기: 훈 전체를 구결자로 드러낸 표기
  • [], [일], 及[및]: 훈독자로 쓰인 구결자 – 사용 빈도가 적음

  • [시]
    • 원자인 賜와 관련있는 주체높임 –시-를 나타냄
    • : 그 이외의 환경 [시]

2.4.2. 훈독자가 아니지만 표어성

  • ‘’와 ‘’
  • ‘’와 ‘’
  • 何 [어노/어누]
    • [우]를 나타내는 구결자가 다양하지만, 何로만 사용
    • 1인칭 대명사: ‘{我}’나 ‘{我}’로만 등장
    • 선어말어미 –누-: ‘’ 
    • ‘-누-’+‘-오-’ = 노: 

3. 석독구결 조사와 어미

3.1. 유가 - 선어말어미

1) 경어법

  • 객체 높임 (ᄉᆞᆸ)
    • 주체 높임의 기능도 확인

2) 시제, 상, 양태

  • (거) / (어)
    • 완료, 가까운 과거
  • (누)
    •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ᄂᆞ
    • 문현수 허인영(2018) / 허인영(2019)
      • 동사에만 사용
      • -ㄹ, 리 결합X
      • 사건시 기준 현재나 진행을 나타내는 경우도 보임
      • ‘ᄂᆞ’(항상성)와 ‘누’(현재시제)가 고대국어 후기에 합류하여 중세국어의 ‘ᄂᆞ’가 되었다고 추정
      • 의존명사, 선어말어미: ᄂᆞ / 선어말어미 누
        • ‘內(/누) > 飛/(), 臥/ (누) > ’
    • (노: ᄂᆞ+오)
  • (리) 중세국어와 ‘리’와 유사
  • (ㅁㅅ) 당위, 가능을 나타내는 양태
    • 유가 - 종결어미  (다)앞에서만 사용
    • 유가 - 양보 선어말어미 (과두) 앞에서도 사용.
    • (ᄒᆞ)가 후행하지 않음

3) 선어말어미 오

  •  오 or ᄒᆞ+오(호)
  • 중세국어 –오-와 기능 유사/밝히기 어려운 경우도 존재
  • 유가 - 知(알-) 뒤에서만 사용되는 (오) 존재
    • 관계절, 보문절에 사용X, 2/3인칭 주어에 대한 당위 표현(-고-일 가능성 있음)

3.2. 유가 - 어말어미

3.2.1. 종결어미

  • 평서형 어미
    • (다)
    • 계사 (이) 뒤에서도 사용
  • 의문형 어미
    • (고) 설명 의문문에 사용
      • 수는 많지 않음/ (리고)로 주로 사용(리: 관형형어미+의존명사)
      • (동명사형어미)+(의문첨사) 예 존재.
  • 감탄형 어미
    • (ㄴ뎌) (ㄹ뎌)
    • 기원적으로 관형형+의존명사 ᄃᆞ()+조사 여()
  • 명령형 어미
    • 유가 -에는 없음
    • (셔)
    • (아)

3.2.2. 연결어미

  • (고), (아)
  • (하): ‘-아’를 포함
    • (시) 뒤 or 용언 名- 뒤
  • 유가 - 동사구, 절 나열 - (져)/보다 더 큰 단위 나열 - (며)
    • 나열 이후 (ᄒᆞ-) 요구
  • (나) 앞 뒤 절 대립적으로 나열
    • 중세 한국어와 유사
  • 유가 - (라): 앞의 절이 뒤의 절의 원인, 근거
    • 계사 (이) 뒤에서만 사용
    • 종결어미로서의 용법x
  • 동명사형 어미 (ㄹ) (ㄴ)이 연결어미로도 사용
  • (ㄹ) (ㄴ)이 포함된 어미
    • (ㄴ을) - ‘거늘’과 달리 ‘거’가 개재되지 않은 형태도 가능
    • (ㄹ여) (ㄴ여) 연결어미로 사용
      • 동명사형 어미+조사
  • 유가 - (ㄹᄃᆞᆫ), (곤):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
  • 유가 - (과): 의도, 소망, 목적
  • (ㅅ뎌): 의도, 소망, 목적
  • (온ᄃᆡ), (올ᄃᆡ): ‘오ᄃᆡ’의 선대형 추정
  • (과두) 양보의 의미를 가짐

3.2.3. 전성어미

  • 유가 - (ㄹ) (ㄴ)
    • 관형형, 명사형 사용
  • 유가 - (ᄂᆞ): 명사형어미 (ㄴ)자리에 등장
    • 명사형 어미 or (ㄴᄂᆞ)(관형형+의존명사)에서 ‘’이 생략된 표기
  • 허인영(2019)
    •  명사절, 관형구성에서 쓰이는 의존명사
    • 동명사어미 (ㄴ), (ㄹ)는 의존명사를 수식하는 경우가 더 많고, 자립명사를 수식할 경우 (), 가 더 많음.
      • 동명사어미 가 직접 자립명사를 수식하지 못하는 제약을 조사 로 해소
      • 이 시기 동명사어미가 체언 수식 기능을 완전히 획득하지는 못한 모습

3.3. 유가 - 조사

3.3.1. 격조사

주어
  • 조사 (이)
    • 조사가 붙는 경우 동사가 서술어 – 행위주성이 높음
    • 붙지 않는 경우 有, 無, 非 등 형용사인 경우(15세기 한국어에도 ‘잇다, 없다, ᄃᆞ외다, ᄀᆞᆮᄒᆞ다’ 등 자동사, 형용사는 조사 없는 주어가 등장하는 경향) -행위주성이 낮음
  • (여) 주어가 문말로 도치된 경우
    • 기원적으로 감탄 조사 에서 발달했을 가능성
  • 화엄경소 권 35, 이두/ 균여향가 (익)
    목적격 조사
  • (ㄹ) 타동문에 사용
  • 有((두)로 읽힘), 能 不-(안ᄃᆞᆨᄒᆞ-: ~를 못하다)의 목적어는 조사가 붙지 않음
  • 어미가 붙지 않는 용언 어간, 부사, 어근이 목적어를 지배하는 경우 조사()가 붙거나 붙지 않는 모습
    • 與(다ᄆᆞᆺ: 더불어) 목적어의 성격에 따라 표지 결합 여부 다름(유정성: 표지O, 유정성X: 표지X)
      속격조사
  • 중세한국어와 동일
  • (ㅅ), (의)
    • : 주어적 속격 용법 존재(주어적 속격으로 사용될 때는 무정체언도 가 결합)
    • 中일 때 (앗) 사용됨
      처격조사
  • (긔), (여긔), (아긔) 체언에 붙는 처격조사 - 인 경우가 가장 많음
    • : 의존명사 서수사 一
    • : 時
  • (호리긔) 의존명사가 포함되는 예
    • ᄒᆞ+오+ㄹ#이+긔
  • 前(앒의) 특이처격어
  • (의긔)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구와 결합
  • 와 다른 요소를 분석할지에 대한 판단 필요
    도구격조사
  • (로) 도구의 의미로 많이 사용 – 동반, 사역의 의미도 해석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
  • (ᄃᆞ로) 원인, 이유 의미
    • , (~한 것으로)의 문법화
      호격조사
  • (아) (여) (하)

3.3.2. 보조사

  • (ㄴ) 화제, 대조 의미
    • 한자 숫자가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 – 주제여도 현토X
  • (도) 선택된 요소와 나머지 요소 사이 동일성
    •  앞에 격조사가 올 수 있음
  • (ㄱ)
    • 선행요소의 강조
    • 중세국어에도 존재
  • (사)
    • ~야, ~만 – 한정/중세국어 ᅀᅡ 대응
  • (곰)
    • 선행절에 붙어 사건 간 계기 관계 강조
    • (연결어미 )으로 사용
    • 以(ᄡᅥ곰/ᄡᅳ곰) - 어간에 붙은 것으로 볼 가능성 있음
  • (근)
    • 계기, 한정(~고 나서는), 조건(~고 나면)
    • 기원적으로 (ㄱ)+(ㄴ)으로 분석 가능
    • 연결어미 뒤에 붙는 예시가 존재
  • (고) (거) 의문 나타내는 보조사

    3.3.3. 연결조사, 인용조사

  • 연결조사: 명사구 연결
  • (여) 작고 긴밀한 단위
    • 마지막 명사구 뒤 (ᄒᆞ), 한문 원문에 따라 等(다ᄒᆞ)-
  • (과) 크고 느슨한 단위
    • 마지막에 나열된 명사구에도 붙음
    • 아우름 동사 없음
  • 명명구문
    • 개념 제시 -> 이름
    • (이다)로 종결, 인용조사 (여)
    • (ㄹ뎌) 명명구문 종결형

4. 통사현상

4.1. 부정

  • 유가 - 장형 부정문만 보임
    • 다른 자토석독구결에서는 단형 부정 보임
  • 용언 어간(용언 어간 + )에 不-(안ᄃᆞᆯᄒᆞ) 不, 未(안ᄃᆞᆨᄒᆞ), 未(아니ᄒᆞ)
    • (ᄃᆞᆯ): 단순부정, 의지부정
    • (ㄱ): 능력부정
    • (이): 미완료
  • 不, 未 非(안디)
    • 명사부정문
    • 중세 한국어와 유사

4.2. 사동

  • (ᄒᆞ) 뒤에 사동 접미사 (이) 결합
  • 令이 있으면, 令[ᄒᆞ이]로 아니면 로 표기
  • 피사동주: 이 붙는 경우가 많음
  • 다른 자토석독구결에서도 사동표현이 , 令로 등장 - 의 소릿값 로 추정

4.3. 피동

  • 피동접미사 확인 안됨
  • [일ᄃᆞᆯᄒᆞ]
  • 한문 피동표현 ‘爲A所B’에 대해서는 ‘爲’ 사용
    • 형식상 목적격을 지배하는 타동사 -> ~을 입다, ~을 당하다 로 해석할 수 있으나, ‘~이 되다’가 나은 해석
  • 爲[?이]
    • 선행 체언에 대격조사 사용됨
    • 의 독법을 [일]로 보면 ~을 일으키다, ~을 이루다 로 해석할 가능성 있음

참고

  • 문현수·허인영(2018), 문법 형태 ‘-ᄂᆞ-’의 통시적 변화, 국어사연구 27, 7–52.
  • 문현수(2020), 석독구결에 쓰인 구결자의 특성, 국어사연구 30, 국어사학회, 71–98.
  • 문현수(2023), 형태소 표기 중심의 석독구결과 음성 표기 중심의 음독구결, 어문논집(98), 민족어문학회, 213–244.
  • 장경준 외(2015), 유가사지론 권20의 석독구결 역주, 역락.
  • 허인영(2019), ‘內’와 關聯 借字의 通時的 變化, 구결연구(42), 구결학회, 51–82.
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-NC 4.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.